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병원 직고용에 대한 견해 1. 미국 간호사에 대한 늘어난 관심 요새 들어서 미국 간호사 이민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주변 선생님들이 늘었다. 원래도 다들 한 번쯤은 꿈꿔봤겠지만 요새 의사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진지하게 고려하는 분들이 늘었다고 생각한다. 재밌는 건 의사 파업 장기화로 의사들의 해외 이민에 대한 관심도 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의사는 간호사에 비해 미국 영주권을 얻기 위해 경력이나 업적(논문 등재 라던가)이 더 필요한 듯 보인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간호사가 그만큼 커리어를 유지하면서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기 쉽다는 뜻이 된다. 예전 글에서도 설명 했지만 미국 간호사가 되는 방법 중 가장 통상적인 것이 sponsorship을 통해 이민비자+영주권취득을 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한국에이전시, 현지에이전시(다이렉트에이전시).. 더보기
Impella 1. 장비개요 좌심실을 서포트하는 장비로 LVAD와 유사한 원리인데, 작은 펌프가 내장된 카테터모양의 디바이스가 좌심실~대동맥에 거쳐 위치하게 되어 좌심실의 혈액을 대동맥으로 쏴준다. 보통 Right Axillary를 통해서 카테터를 삽입하며, 메인 콘솔과 일체형이기 때문에 별도 배터리가 없어 LVAD와 다르게 장비를 달고 퇴원 할 수 없다. 그렇다고 평생 impella를 달고 병원에서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heart transplant의 bridge therapy로 선택된다(한 달 넘게도 쓴다). 현재 원내에선 Impella 5.5만 거의 사용하고 있고 다른 모델은 본 적이 없다. 이 모델은 flow가 2.5~4.0L/min인 다른 임펠라와 다르게 flow를 6.0L/min까지 지원한다는 것. 2. .. 더보기
라스베가스 후기 - 먹을거리 1. Hot and Juicy 베가스에 가면 꼭 맛봐야 한다는 crawfish boil 가게다. 여러 해산물과 구황작물들을 익혀 비닐봉지에 담고 빨간색 소스를 버무려 손으로 발라먹는? 음식이다. 본인의 기호에 따라 민물가재 대신에 조개나 홍합, 대게등 다른 갑각류 내지는 어패류가 주 재료가 될 수 있다. Hot N Juicy에선 기본 메뉴(정확한 메뉴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다-민물가재, 새우, 옥수수, 감자, 소시지 가 들어감)하나와 calamari 튀김을 시켰다. 나도 와이프도 너무 맛있어하면서 먹었는데, 정말 안먹었으면 후회할 뻔 했다뻔했다. 소스 자체에선 묘하게 쌈장맛도 났는데, 소스에 다진 마늘을 엄청 많이 넣어서 그런 듯했다. 소스가 잔뜩 밴 민물가재와 새우를 먹는 것도 또 다른 맛이라 즐거웠다... 더보기
베가스 여행 후기(볼거리) 0. 환락의 도시? 호텔과 카지노, 각종 쇼와 클럽으로 점철되는, Sin city라고 불리기도 하며 누군가에겐 꿈의 도시이기도 하다. 예전부터 베가스 한번 가보자고 아내에게 얘기했었는데, 우연히 휴가가 맞아서 같이 가게 되었다. 난 여행이 아닌 비즈니스 목적으로 가게 되었지만 그렇다고 관광을 아예 안 한 건 아니었기 때문에 후기를 남겨볼까 한다. 참고로 말하자면 난 도박을 싫어해서 도박장은 그저 지나가기만 했지만 카지노 외에도 즐길거리가 충분하다. 1. Netflix Slam: Rafael Nadal VS Carlos Alcaraz 넷플릭스에서 라이브로 송출하는 스포츠 경기 중계로 알고있는데 이번엔 테니스다. 우리 부부가 베가스에 있는 동안 경기를 한다길래, 둘이 테니스를 배우기도 했었고 매치업이 재밌어.. 더보기
미국 중환자실에서만 볼 수 있는 약들 1. Sodium Phosphate, Potassium Phosphate, Potassium chloride 매일 아침 정규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부족한 전해질을 채워주는게 기본인데, 인이 섞인 이 두 약제는 한국에서 일하면서는 본적이 없다. 소듐포스페이트나 포타슘포스페이트를 검색하면 보통 하제로 많이 나오는데, 원내에서 사용하는 IV제제는 부족한 인을 채우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1] Sodium Phosphate 원내 규정에 따르면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Sodium phosphate로 부족한 인을 채우는 것이 권장되며 인 함유량은 15mmol/100NS다. 환자 Phosphorus수치가 1.6~2.2mg/dL면 moderate level of deficiency로 간주해 두 팩을 채워주며 내가 일.. 더보기
의사 파업에 관련해 알아보는 미국의 의료 대체 인력(PA, NP, CRNA) 1. 의사를 (어느 정도) 대체하는 인력 미국엔 PA와 NP, CRNA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로 의사 업무를 어느 정도 대체 하고 있으며 높은 의료 인력 수요를 커버하고 있다. 이 세 직군의 공통점이라면 임상 관련 경력이 있어야 한다는 점, 대학원을 졸업해야 하고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는 점이다. [1] PA 최근 의사 파업 이슈가 불거지기 바로 전 간호법과 PA간호사에 대한 것이 화제가 되었다. PA는 Physician Assistant인데, 의사 면허가 없고 의대졸업하지 않았지만 의사의 일부 업무를 대신할 수 있는 포지션이다. 앞서 설명한 세 직군 중 PA는 우리나라에도 있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미국과는 너무 다른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미국에선 PA가 되기 위한 조건이 .. 더보기
스몰톡 문화 1. 모두가 자신 없어하는 스몰톡 흔히 미국행을 준비하는 분들의 큰 걱정 중 하나가 바로 영어 의사소통이다. 그중에서도 스몰톡을 가장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연차가 낮을수록 말을 아끼고 업무 외 대화는 지양하는 게 우리나라의 문화라면 미국은 정 반대기 때문이다. 어딜 가나 서로 떠들고 있고 별것 아닌 주제로도 몇십 분을 대화한다. 신규간호사나 나이 든 간호사나 예외 없이 다들 그래서, 처음엔 유닛에 신규간호사가 아예 없는 줄 알았다. [1] 스몰톡을 대하는 자세 내가 하고 싶은 얘기는 '스몰톡에 너무 공포심을 가지지 마라'이다. 덧붙이자면 처음엔 스몰톡에 아예 참여를 하지 않아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난 한국에서 일할 때도 3년 차 정도 될 때까지 부서사람들과 잡담을 거의 안 한 것 같다. 분위.. 더보기
책 -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1. 부동산이 과연 자산일까?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의 고정관념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부동산이 '자산'이라는 생각이다. 한국에선 부동산을 흔히 자산으로 인식하고, 어느 정도 맞는 말이기도 하다. 부동산이 자산으로 인식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부동산 만한 투자처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 주식이 투자자들에게 만족스러운 수익률을 가져다주지 못하기 때문에 매력적인 투자처가 아니게 되고, 상대적으로 부동산에 몰리게 된다. 내 의견은 아니고 이에 대해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에서 이 주제를 잠깐 다뤘는데(어느 영상이었는지 기억이 안 난다), 미국은 반대로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률이 좋기 때문에 투자수단으로 주식이 부동산 보다 인기 있는 편이다. 그리고 집을 살 경우에 나가는 세금, 유지비, 사고팔.. 더보기